1. 정보전략 및 관리/확률통계

통계적 가설검정

SWExpert 2022. 11. 1. 20:24

I. 통계적 가설검정(가설검정)

-. 증명된 바 없는 주장이나 가설을 표본 통계량에 입각하여 주장이나 가설의 진위여부를 판단, 증명, 검정하는 통계적 추론 방식
-. 모집단으로부터 일부 표본을 추출하여 추출된 표본을 근거로 모집단에 대한 가설을 채택 또는 기각여부를 결정하는 활동
-. 모집단의 분포의 모양이나 모수 등에 대한 가설을 세우고 모집단에서 추출한 표본에 기초하여 가설의 채택이나 기각을 결정하는 통계적 기법

II. 가설
1) 귀무가설: 대립가설이 참이라는 확실한 근거가 없는 경우에 받아들이는 가설, 직접 검정 대상이 되는 가설
2) 대립가설: 표본으로부터 확실한 근거에 의해 입증하고자 하는 가설, 귀무가설에 대립되는 가설, 귀무가설이 기각될 때 받아들여지는 가설
3) 검정 통계량: 검정통계량=(표본통계량-모수의 귀무가설 값)/표본통계량 표준오차
4) 유의 수준: 귀무가설 H0,가 참일 때, 대립가설 H1을 채택하는 오류를 범할 확률의 최대 허용 한계
5) 기각역: 유의수준이 정해졌을 때 검정 통계량 분포에서 유의 수준 크기에 해당하는 영역

III. 가설검정
1) 양측검증: 대립가설 방향성 미존재
2) 단측검증: 대립가설 방향성 존재
3) 왼쪽, 단측검정, 오른쪽 단측 검정: 방향성에 따라 분류
4) 대립가설의 주장이 방향성을 가지면 단측검증, 방향성을 갖지 않으면 양측검증
5) 관측된 유의수준 p-value가 미리 설정한 기준보다 낮으면 귀무가설을 기각

IV. 귀무가설 검증

표본에서 구한 검정통계량이 사전에 설정한 기각역 안에 들어가면 귀무가설 H0를 기각

V. 절차

통계적 가설 설정->유의수준 결정->검정 통계량 설정->기각역 설정->검정통계량 계산->결과해석
1단계:가설수립(귀무가설/연구가설설정)
2단계:유의수준결정
3단계:검정통계량과 확률분포, 기각역 설정
4단계:표본을 뽑아 검정통계량계산
5단계:계산된 검정 통계량을 바탕으로 가설 검정 및 해석, 의사결정


VI. 검정유형
1) 양측검증

귀무가설이 모수가 특정값이라고 할때 대립가설이 모수가 특정값이 아님이라고 주어지는 경우

2) 왼쪽 단층검증

귀무가설이 모수가 특정값이라고 할때 대립가설이 모수가 M0보다 작음으로 주어지는 경우
3) 오른쪽 단층검증

귀무가설이 모수가 특정값이라고 할때 대립가설이 모수 m0보다 큼으로 주어지는 경우


VII. 가설검정기법
1) 검정대상이 평균이면
(1) 모집단이 1개,2개이면 t검정
(2) 모집단이 3개이상이면 분산분석(ANOVA)

2) 검정대상이 분산이면
(1) 모집단이 1개이면 카이제곱검정
(2) 2개이면 F검정


가설검정은 검정 대상이 평균이냐 분산이냐에 따라 나뉘고 이후 모집단의 수에 의해 구체적으로 결정

'1. 정보전략 및 관리 > 확률통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계열 분석(Time Series Analysis)  (0) 2022.1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