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 정규화
-. 데이터 모델의 삽입이상, 갱신이상, 삭제 이상 현상을 제거하기 위한 릴레이션의 무손실 분해과정
-. 정규화의 원칙 : 정보의 무손실, 데이터 중복성 감소, 분리의 원칙
II. 정규화 유형 및 정규화별 핵심 요소
가. 정규화 유형
나. 정규화별 핵심 요소
정규화 |
핵심요소 |
설명 |
1차 정규화 |
원자성 |
- 각 속성에 값이 반복이 없는 원자값으로만 구성되도록 분해하는 과정
- 복수의 속성값을 갖는 속성을 분리
|
2차 정규화 |
부분함수 종속성 제거 |
- 주식별자가 아닌 속성들 중에서 주식별자 전체가 아닌 일부 속성에 종속된 속성을 찾아 제거하는 과정
- 주식별자에 종속적이지 않은 속성을 분리
|
3차 정규화 |
이행함수 종속성 제거 |
- 기본키 외의 속성들 간에 함수적 종속성을 가지지 않도록 이행함수 종속성을 제거해 가는 과정
- 속성에 종속적인 속성을 분리
|
BCNF |
결정자 함수 종속성 제거 |
- 복잡한 식별자 관계에 의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후보키가 아닌 결정자를 제거하는 과정
- 다수의 주식별자 분리
|
4차 정규화 |
다치 종속성 제거 |
- 하나의 릴레이션에 두 개 이상의 다치 종속이 발생하는 경우 이를 제거하는 과정
- 다치 종속 속성의 분리
|
5차 정규화 |
조인 종속성 제거 |
- 조인 종속(JD)이 존재하지 않거나 JD에 의해 분해되는 Projection들이 원래 릴레이션의 후보키를 유지하는 과정
- 결합 종속일 경우 두 개 이상의 N개로 분리
|
다. 정규화 핵심요소
효과 |
핵심요소 |
설명 |
이상현상 제거 |
갱신/삽입/삭제 이상 |
- 데이터의 중복과 종속으로 발생하는 갱신/삽입/삭제 이상현상 제거
|
저장공간의 효율화 |
데이터 중복 최소화 |
- 불필요한 데이터 중복을 최소화하여 데이터 저장 공간의 효율화 충족
|
데이터 일관성/ 무결성 보장 |
종속성 제거 |
- 페포(Closure)와 암스트롱 공리를 활용하여 함수 종속성 분석
- FDD(FD Diagram)을 통해 종속성 표현
- 종속성 제거하는 정규화를 통해 일관성/무결성 유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