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사시험/출제경향 - 128회

1교시 3. POP(Point Of Production)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SWExpert 2022. 7. 12. 18:52

 I. POP(Point of Production) 개념

가. 생산실적관리를 위한 POP 정의

-. 생산계획 및 작업 지시에 따라 현장에서 발생되는 각종 생산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집계, 분석, 조회할 수 있는 시스템

-. 생산계획 및 작업지시에 의거 생산현장에서 발생하는 각종 정보, 즉 계획 대비 실적관리, 설비 가동/비가동 정보관리,

라인별/공정별 생산 현황 정보 등을 실시간으로 집계, 분석, 조회할 수 있는 시스템

 

나. POP 도입목적

생산 시점 (Point of Production)에서 수집된 생산 관련 정보 분석결과를 의사결정 근거로 활용 가능

정확한 생산량 및 작업현황 파악

생산자원의 정확한 부하계산과 생산지시로 설비 가동의 효율화

현장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하여 생산에 대한 표준화된 자료 산출

작업 표준 및 공정계획의 신속한 현장 전달로 계획과 생산의 피드백 체제 구축

 

다. POP의 특징

생산량 예측 정보시스템을 통한 생산 계획 조정 및 생산량 예측
수작업 최소화 제조 현장의  Paperless화 실현 및 수작업의 최소화
생산성 향상 공정 개선을 통한 생산 소요시간 단축 및 생산성 향상

II. POP 개념도 및 주요기능

가. POP 개념도

나. POP 주요 기능

구분 주요 기능 설명
생산관리 작업 지시 공정계획의 작성과 변경, 지시, 생산 능력 조정
  생산현황 파악 생산진도 상황 파악, 가동 상황 파악, 생산실적 수집, 
  재고파악 원자재 재고, 공정 재공, 완제품 재고 수량 파악
원가관리 사용량 원재료 사용량 파악 및 관리
  가동시간 기계설비의 가동 시간 파악
  공수관리 교체공수, 부가가치 공수, 품종별,  LOT 별, 제조번호별
품질관리 불량관리 생산 반제품 집계, 불량 분석
  가공이력 가공이력정보, 월량 원인 공정 또는 설비 검색
  재공 완제품의 재료로 쓰기 위하여 기초원료를 가공한 중간제품, 
설비관리 가동관리, 수명관리, 공구관리 생산능률 저해요인 분석 및 제거위치와 관리 항목

III. POP 도입 효과

도입효과 구분 설명
리드타임 단측 lead time/LT 제품을 생산하는데, 시작부터 마칠 때 까지의 소요시간
도입전 불투명한 시간관리로 인해 자재투입부 터 제 품출하까지 시간이 길다.
도입후 poP 시스템 도입으로 리드타임을 졸여 공정간 재고의 금리 부담을 졸이고 자금 조달을 개선하여 이익 발생
공정간 재고의 삭감 도입전 불 량품 발생 시 불량품의 재료비, 공수, 설 비상각비 등의 비용손실 및 양질제품 생산 가능 시간에 대한 기회손실 발생
도입후 POP시도 입으로 공정간 재고를 줄이면 금리 부담을 줄일 수 있고 자금회전이 개선되어 이 익 발생
수율향상 수율 투입수에 대한 양품의 비을
도입전 불 량품 발생 시 불 량품의 재료비, 공수, 설 비상각비 등의 비용손실 및 양질제품 생 산 가능 시 간에 대한 기회손실 발생
도입후 POP 시스템 도입으로 불량율을 감소시킴으로써 비용손실 및 기회손실 감소
보전비 삭감 도입전 사후 보전은 확대 손실이나 기회 손실이 많아지기 때문에 예방 보전이 바람직
도입후 POP 시스 템 도입으로 예방 보전을 통해 보전 비용 대폭 절감
원가 절감 도입후 품 종 별 /LOT 별로 실적 원가를 정확하게 파악하며, 품종 별 /LOT 별로 대잭을 서울 수 있어 원가 절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