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정보전략 및 관리/프로젝트 관리
프로젝트 위험관리 프로세스
SWExpert
2022. 7. 23. 21:55
I. 프로젝트의 성공을 위한 위험관리 프로세스
-. 프로젝트 위험 식별, 분석 및 이에 대한 대응책을 마련하여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완료하기 위한 프로세스
II. 프로젝트 위험 관리 프로세스 구성도 및 구성요소
가. 프로젝트 위험 관리 프로세스 구성도
나. 프로젝트 위험 관리 프로세스 구성요소
프로세스 | 구성요소 | 설명 및 산출물 |
계획 | 위험관리계획수립 | 위험관리 기준과 활동 정의하고 계획 |
위험식별 | 프로젝트 영향주는 위험 식별과 특성 문서화 | |
정성적 위험 분석 | 위험 발생확률과 영향 평가하여 우선순위 결정 | |
정량적 위험 분석 | 위험이 프로젝트목표에 미치는 영향 수치적분석 | |
위험 대응 계획 수립 |
긍정적 위험 증대, 부정적 위험 최소화 위한 대응, 처리방안 | |
실행 | 위험 대응 실행 | 합의된 위험 대응 계획 실행 |
감시 및 통제 | 위험 감시 및 통제 | 위험 프로세스 효율성 평가 |
III. 위험 대응 방법
구분 | 대응방법 | 설명 |
부정적 위험 대응 | 에스컬레이션 | Escalation, 과업 밖에 있거나, PM 권한 밖에 있는 사항으로 서로 판단 사항 |
회피 | 프로젝트 목표를 위험의 영향권에서 고립 혹은 변경 | |
전가 | 위험 영향력 및 대응 주체를 제3자에게 책임 이동 | |
완화 | 수용 가능 한계선까지 위험 발생가능성, 영향 낮추는 방법 | |
수용 | 위험 제거 불가하거나 대응 전략 수립 할 수 없는 경우. | |
긍정적 위험 대응 | 에스컬레이션 | Escalation, 과업 밖에 있거나, PM 권한 밖에 있는 사항으로 서로 판단 사항 |
활용 | 기회 실현 위해 긍정적 영향 갖는 리스크 선택 전략 | |
공유 | 제3자에게 유익한 기회를 공유(분담)하는 방법 | |
증대 | 긍정적 영향 리스크 식별하여 극대화 | |
수용 | 기회 수용 수반되면 활용하지만 적극적 기회 추구 않는 방법 |